24년 만에 오른 예금보호한도…권대영 부위원장 “혁신기업 자금 지원으로 이어져야”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지난 1일 예금보호한도 1억 원 시행 첫날,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을 찾아 소상공인 예금자와 함께 예금 상품에 가입하고 은행 직원으로부터 예금자 보호제도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사진=금융위원회)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지난 1일 예금보호한도 1억 원 시행 첫날,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을 찾아 소상공인 예금자와 함께 예금 상품에 가입하고 은행 직원으로부터 예금자 보호제도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사진=금융위원회)

예금보호한도가 24년 만에 1억 원으로 상향 시행되면서 금융당국이 현장 점검에 나섰다.

금융위원회 권대영 부위원장은 지난 1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을 방문해 제도 시행 첫날 현장을 살폈다. 이번 행보는 예금자 보호 제도 개편을 국민에게 알리고, 예금보험 관계 표시·설명·확인 절차를 직접 점검하기 위한 것이다.

권 부위원장은 소상공인 예금자와 함께 예금 상품에 가입하며 은행 직원의 설명을 듣고, 통장에 인쇄된 ‘예금보호한도 1억 원’ 문구를 확인했다. 그는 “2011년 저축은행 사태 당시 예금보험제도의 중요성을 절감한 경험이 있어 이번 상향이 더욱 뜻깊다”며 “금융권이 납부하는 보험료라는 씨앗 위에, 국가와 국민이 닦아 놓은 토양 덕분에 가능한 변화”라고 평가했다.

이어 그는 “예금보호한도 1억 원 문구는 국민의 안심과 신뢰의 무게를 상징한다”며 “정부 국정과제인 생산적 금융 실현을 위해 금융권이 적극적으로 응답해 달라”고 주문했다. 특히 혁신기업과 미래 성장산업으로 자금이 흘러가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며, 금융회사를 ‘생산적 금융의 핵심 플레이어’로 지목했다.

유재훈 예금보험공사 사장은 “예금보호한도 상향을 상품 설명서와 통장에 신속히 반영한 금융권의 노고에 감사한다”며 “고객에게 제도를 성실히 안내해 달라”고 당부했다.

금융위원회는 앞으로 금융권과 긴밀히 소통하며 제도 시행 상황을 점검하는 한편, 금융감독원 등 관계기관과 협력해 자금 이동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강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